조직정보 공개(2022. 12. 31. 기준)
공무원 정원 (단위 : 명)
자치단체 | 공무원 정원 | ||
---|---|---|---|
총원 | 일반직 | 복지직 | |
자치구 평균 | 1,484 | 1,202 | 282 |
구로구 | 1,505 | 1,190 | 315 |
비교 지자체 현황
특별시 자치구(25개) : 종로, 중구, 용산,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조직정보 공개(2022. 12. 31. 기준)
과장급 이상 상위직 비율 (단위 : 명)
자치단체 | 과장급 이상 비율 | ||
---|---|---|---|
총원 | 과장급 | 비율 | |
자치구 평균 | 1,484 | 76 | 5.2% |
구로구 | 1,505 | 77 | 5.1% |
비교 지자체 현황
특별시 자치구(25개) : 종로, 중구, 용산,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조직정보 공개(2022. 12. 31. 기준)
공무원 1인당 주민수 (단위 : 명)
자치단체 | 1인당 주민 수 | ||
---|---|---|---|
주민수 | 공무원수 | 1인당 주민수 | |
자치구 평균 | 377,135 | 1,484 | 249 |
구로구 | 395,315 | 1,505 | 263 |
비교 지자체 현황
특별시 자치구(25개) : 종로, 중구, 용산,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조직정보 공개(2022. 12. 31. 기준)
소속기관 및 읍면동 공무원 비율 (단위 : 명)
본청 - 소속기관 정원 비율
자치단체 | 소속기관 및 읍면동 공무원 비율 | |||
---|---|---|---|---|
본청 | 본청비율 | 소속기관 | 소속기관 비율 | |
자치구 평균 | 930 | 62.9% | 554 | 37.1% |
구로구 | 943 | 62.7% | 562 | 37.3% |
시군구 – 읍면동 정원 비율
자치단체 | 현장공무원 비율 | |||
---|---|---|---|---|
시군구 | 시군구비율 | 읍면동 | 읍면동비율 | |
자치구 평균 | 1,100 | 74.3% | 384 | 25.7% |
구로구 | 1,122 | 74.6% | 383 | 25.4% |
비교 지자체 현황
특별시 자치구(25개) : 종로, 중구, 용산,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조직정보 공개(2022. 12. 31. 기준)
재정규모 대비 인건비 운영 비율 (단위 : 백만원)
자치단체 | 재정규모 대비 인건비 운영 비율 | ||
---|---|---|---|
인건비(백만원) | 세출결산액(백만원) | 인건비 운영비율 | |
자치구 평균 | 123,348 | 890,359 | 14.4% |
구로구 | 120,010 | 930,281 | 12.9% |
비교 지자체 현황
특별시 자치구(25개) : 종로, 중구, 용산,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공무원 현원
현원(’22.12.31 기준)
2022년도 우리 구로구의 현원은 총 1,459명으로 남성공무원은 607명(41.6%)이고, 여성공무원은 852명(58.4%)입니다.
구분 | 전체 | 남성 | 여성 |
---|---|---|---|
현원 | 1,459명 | 607명 | 852명 |
비율 | 100% | 41.6% | 58.4% |
(직종별) 일반직이 99.52%, 특수경력직이 0.48%비율로 나타남
구분 | 전체 | 경력직 | 특수경력직 | ||
---|---|---|---|---|---|
일반직 | 특정직 | 별정직 | 정무직 | ||
현원 | 1,459명 | 1,452명 | 0명 | 6명 | 1명 |
비율 | 100% | 99.52% | 0% | 0.41% | 0.07% |
전문경력관, 일반임기제, 전담직위 및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 포함
(직렬별) 행정직 47.8%, 사회복지 13.7%, 시설직 7.5% (단위 : 명, %)
전체 | 전체 | 행정 | 세무 | 전산 | 사회복지 | 공업 | 녹지 | 보건 | 의료기술 |
---|---|---|---|---|---|---|---|---|---|
현원 | 1,459명 | 697명 | 84명 | 8명 | 200명 | 50명 | 25명 | 24명 | 12명 |
비율 | 100% | 47.8% | 5.8% | 0.5% | 13.7% | 3.4% | 1.7% | 1.6% | 0.8% |
전체 | 간호 | 환경 | 시설 | 방송통신 | 시설관리 | 운전 | 사무운영 | 전기운영 | 기타 |
현원 | 65명 | 6명 | 109명 | 12명 | 8명 | 67명 | 11명 | 6명 | 75명 |
비율 | 4.5% | 0.4% | 7.5% | 0.8% | 0.5% | 4.6% | 0.8% | 0.4% | 5.2% |
기본 인사운영
연도 | 신규임용 인원 | 휴직 인원 | 퇴직 인원 |
---|---|---|---|
22년 | 134명 | 180명 | 91명 |
균형인사 운영
5급이상 여성관리자 현황
연도 | 5급이상 공무원 | 5급이상 여성관리자 | 비율 |
---|---|---|---|
22년 | 72 | 26 | 36.11% |
고위공무원, 일반직(일반임기제 포함)1~5급, 일반임기제 5급, 연구·지도관, 별정직 1급상당~5급상당, 전문경력관 가군, 전담직위 5급이상
장애인공무원 고용 현황
(단위 : 명, %)
연도 | 의무대상정원 | 경력직 | 비율 | ||
---|---|---|---|---|---|
계 | 경증 | 중증 | |||
’22.12.31 기준 | 1,505 | 59 | 45 | 14 | 4.85% |
중증장애인 더블카운트제(장애인 고용인원을 산정하는 경우 중증장애인의 고용은 그 인원의 2배에 해당하는 장애인의 고용으로 봄) 적용, 고용노동부 신고 인원과 일치
시험통계
시·도 홈페이지 바로가기(http://www.seoul.go.kr) 또는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시스템 바로가기(http://gosi.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