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
- 홈
- 보건정보
- 감염병예방
- 일반예방접종
- 폐렴구균
폐렴구균
폐렴구균 감염
- 호흡기 질환이 흔한 겨울철과 초봄에 잘 발생 되며,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과 사람간의 직접 접촉 등으로 전파됨
- 폐렴구균 감염증은 비침습성 감염증(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등)과 침습성 감염증(수막염, 균혈증 등)으로 구분됨
- 노인에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률, 사망률이 높음
폐렴구균 백신(23가 다당질 백신)
- 접종 2~3주 후 건강한 성인 80% 이상에서 항체 형성
-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예방효과 50~80%
예방접종 권장대상
종류 대상자 | 수수료 | |
---|---|---|
일반 권장 | 없음 | |
우선 권장 | 연령별 | 65세 이상 성인 |
질환별 |
|
|
상환별 | 인공 와우 이식 상태, 알코올 중독자, 흡연자 |
면역저하자 : 선천성 면역 저하, HIV 감염,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호치킨병, 종양질환, 장기간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면역억제제 투여, 치료방사선 요법, 고형 장기이식, 조혈모세포이식, 다발성 골수종 환자
강조50세 이상 성인 중 뇌척수액 누출 및 인공 와우 이식 환자, 기능적 및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저하자의 경우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접종방법
- 접종기간 : 연중
- 접종대상 : 관내 65세 이상 어르신(1954년생)
- 접종장소 : 보건소 1층 예방접종실
- 접종시간 : 오후 1시~5시 (오전엔 영유아 예방접종 실시로 오후에만 가능합니다)
- 사용백신 : 23가 다당질 백신(PPSV23)
- 접종횟수 : 65세 이상 1회만 접종
- 병.의원에서 65세 이후에 접종하신 분은 제외 (23가 다당질백신)
- 보건소에서 접종하신 분도 제외
- 준비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예방접종 실시 기준
- 65세 이후에 23가 다당질 백신 접종한 경우 접종 불필요
- 65세 이전에 23가 다당질 백신 접종한 경우 최소 5년 경과 후 65세 이상이 되었을 경우 접종
- 면역저하자, 무비증환자 등 접종기준 : 13가 단백결합 백신 우선 접종을 고려 할수 있음
기저질환자 주의사항
- 아래의 기저질환자는 보건소 방문 전에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하여 담당 주치의와 먼저 상담후 접종가능여부 확인 바랍니다.
- 면역저하자 : 종양질환,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다발성 골수종 환자, 면역억제제 투여(스테로이드 포함), 방사선 치료, 조혈모세포이식, 고형 장기이식,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HIV 감염, 선천성 면역저하
- 뇌척수액 누출자, 인공와우 이식 환자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에 비해 접종 부위 통증, 부종이 심할 수 있으나, 대부분 48시간 이내 소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