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소개

1980~1990전반기

1980~90년대 전반기 도시계획

1980년대는 시가지가 거의 완성 단계에 들어간 시기이자 재조정의 시기였다. 구획정리가 완료되는 한편 지하철 2호선의 개통으로 연계 교통망이 더욱 강화되었다. 한편 공단의 기능전환이 검토되는 시기도 이 때였다. 공단을 중심으로 형성된 주거지역은 주공이 혼재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80년대 들어 산업 개편에 따라 공단에 있었던 준공업지역의 일부가 축소되었다.


영등포구로 출발했던 구로지역은 1980년 4월 1일 대통령령 제9630호로 영등포에서 분리되어 구로구로 신설되게 된다. 이 지역이 구로동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발전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영등포구의 구로동, 가리봉동, 독산동 등 남부지역을 별도로 나누어 구로구를 신설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때 구로구로 편입된 지역은 구로동, 가리봉동, 독산동, 시흥동,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궁동, 온수동, 천왕동, 항동 및 신도림동 일부 지역이었다. 그 뒤 구로구는 1985년 9월 독산본동과 시흥 5동이 신설되고 1988년 7월에는 구로본동이 신설되어 총 30개 동을 이루었다. 1994년 11월에는 개봉본동이 신설되어 31개동이 되었으나, 이 해 12월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시도간 관할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법률제4802호)이 제정되면서 1995년 3월 1일 구로구는 금천구와 구로구로 분리되어 가리봉동, 시흥동, 독산동 등은 금천구로 편입되었고 구로구는 현재의 19개 동이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구로구 내에 속하고 있는 19개 동을 보면 신도림동, 구로본·1·2·3·4·5·6동, 가리봉1·2동, 개봉본·1·2·3동, 오류1·2동, 수궁동이다.


위와 같은 행정구역 변화와 발 맞추어 도시계획구역도 변화하였다. 1963년 광명시 일원을 포함하는 광범한 지역을 도시계획구역을 설정하였던 것에서, 1982년 12월에는 현실에 맞게 광명시 일원이 도시계획 구역에서 제외되었고, 금천구가 분리됨에 따라 구로구의 도시계획 구역은 이제 구로구 자체로 한정되게 되었다.


1980년대는 구로구의 시가지가 완성되는 단계였다. 구로구의 구획정리 사업이 마무리되었고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어 연계교통망이 강화되었다. 또한 이전에 비해 준공업지역이 일부 축소 조정되었다. 한편 1970년대부터 발생했던 주공 혼재 현상이나 이로 인한 토지이용의 혼재가 심화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도 문제로 남아 있었다.


도시계획은 한정된 공간을 어떻게 기능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우리 구는 이미 개발된 토지가 98.7%에 이르러 개발 가능한 토지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은 노후 불량지에 대한 재건축, 재개발을 통해 토지이용을 극대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또 공업지역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구 실정으로 볼 때, 공장용지가 감소하고 이것이 대지로 전환되는 추세는 공업기능의 쇠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도시기능 재분배에 따른 용도정비와 불합리한 용도지역을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1990년 현재 구로구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을 보면 대지와 공장용지가 각각 서울시 대비 전체면적 5.4%보다 상회하며 특히 공장용지는 서울시 전체의 52.1%를 차지해 공업도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미개발지인 임야, 기타용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대지 및 시설 용지는 지속적인 증가 현상을 나타내고 있어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로구 내 일반대지 현황을 보면, 주거 및 상업, 업무 공장, 혼합용지인 일반 대지 현황은 총면적의 45.4%인 14,891,245㎡으로서 주거용지가 25.3%, 공장용지가 14.5%, 상업 업무용지가 3.6%, 기타용지가 2.0%를 점하고 있다.


시설용지는 총면적의 69.0%를 점하고 있고 공원녹지가 25.5%로서 대부분 그린벨트로 이루어져 있다.

1980~90년대 전반기 도시계획

1980~90년대 전반기 도시계획 안내 - 구분, 계, 주거, 상업·업무, 공업, 혼합, 공공, 공원·녹지, 공지, 기타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주거 상업·업무 공업 혼합 공공 공원·녹지 공지 기타
면적(㎢) 32.798 8.310 1.180 4.761 0.640 7.729 8.376 0.298 0.504
구성비(%) 1000.0 25.3 3.6 14.5 2.0 23.6 25.5 0.9 4.6

1980~90년대 전반기 도시계획 주택

구로구 지역의 주택건설은 구로공단 건설로 인한 구로구 팽창과 때를 같이 한다. 1950년 이전 구로구는 거의 논과 밭으로 이어져 있는 지역이었다. 개발이 진행되기 전인 1950년 구로구에서는 767호, 1950년대에 1,088호의 주택 건설이 있었을 따름이었다. 그러던 구로구는 1960년대에 들어와서 9,383호를 건설함으로서 이전 시기에 비해 무려 9배의 주택건설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증가율은 같은 시기 다른 구의 주택 증가율보다 월등히 높은것이어서 당시 구로구의 개발정도를 짐작게 해준다. 이후 구로구는 1970녀대에는 25,933호가, 1980년부터 1985년 까지는 22,233호의 주택이 건설되었다. 현재 구로구 건축물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의 반 이상인 58.2%가 주거용도이며, 공업용도가 22.3%를 차지하고 있어 공업도시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1980~90년대 전반기 도시계획 주택 안내 - 구분, 계, 주거, 업무, 상업, 공업, 기타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주거 업무 상업 공업 기타
건축연면적 면적 12,406 7,214 749 1,586 2,768 89
구성비 100.0 58.2 6.0 12.8 22.3 0.7
시가화면적 면적 14,641 8,310 1,180 4,511 640
구성비 100.0 56.8 8.0 30.8 4.4
건축밀도 용적율 84.7 86.8 197.9 61.4 13.9

구로구는 주거용도의 건축물 비율이 다른 구에 비해 낮을 뿐 아니라 노후 불량한 고밀도의 단독 주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불량 노후주택지에 대한 정비 및 불합리한 용도지역을 정비하여 기반시설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주택종류로 본 구로구의 주택현황은 [표 7-3]과 같다.

구로구 주택현황 안내 - 년도, 합 계, 주 택 종 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년도 합 계 주 택 종 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1985 97,978 38,672 13,845 11,833 - 2,161
1990 81,941 39,242 23,143 16,691 1,134 1,731
1993 103,180 83,125 29,162 20,893 20,893 -
1994 105,624 52,447 30,832 23,345 -
1995 72,721 19,314 11,474 18,740

이를 점유형태별로 살펴보면 1990년도 기준으로 총 81,941호 가운데 자가가 62,969호, 전세가 13,989호, 보증부 월세가 2,493호, 월세가1,454호, 무상이 1,036호이다.


주택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으로서 구로구에서는 재개발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건축사업, 무허가건물 단속 등을 실시하고있다.


재개발이란 기존 도시내의 구조물이나, 설비시설의 노후, 주택환경의 악화 등으로 도시기능의 장애와 황폐화가 우려될 경우 기존 도시환경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재개발사업이란 도시의 역기능을 순기능으로 만들기 위해서 행해지는 강제수단을 통한 도시계획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재개발사업은 도심지재개발사업과 주택개량재개발사업으로 구분하여 시행되며 주택개량 재개발사업은 합동재개발사업과 자력개발사업으로 나눌 수있다.


1996년 구로구의 재개발사업지역은 모두 5개지역이다. 오류1구역(오류동 14번지 일대), 신도림1구역(신도림36번지 일대)은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고 구로6구역(구로동 764번지 일대)은 착공 예정이며, 고척1(고척1동 1번지 일대), 오류2(오류1동 14-50번지일대)구역은 사업계획이 수립된 상태이거나 구역지정을 추진중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노후 불량주택이 밀집돼 있고 대지가 협소하여 주거밀도가 높으며 하수도 등의 공공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재개발사업이 어려운 지역을 말하는데, 이러한 지역은 소방도로 등 공공시설을 정비하여 주민이 다른 곳으로 이사하지 않고서도 제자리에서 살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노후 불량주택이 1/2 이상이거나 재개발사업이 불가능한 지역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현재 구로구에서는 1989년부터 현재까지 7개 지역을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로 지정해 사업을 추진중이다.

[표 7-4] 주거환경개선 사업현황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구로구 주거환경개선 사업현황 안내 - 시행방법, 지구명, 면적, 개량대상 건물(동), 지구지정고시, 개선계획고시, 사업완료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행방법 지구명 면적 개량대상 건물(동) 지구지정고시 개선계획고시 사업완료일
현지개량 구로3-2지구 9,557 103 1990.8.11 1991.8.9 1996.12
구로3-3지구 9,043 67 1989.12.30 1990.12.28 1996.12
가리봉1-1지구 5,058 74 1990.8.11 1991.8.9 1996.12
구로4-1지구 91,682 1,036 1990.12.18 1992.11.2 1996.12
구로3-4지구 2,582 16 1994.4.15 수립중 -
공동주택개발 항동1지구 8,942 146 1989.12.30 1990.12.28 1996.12
현지개량공동개발 구로3-1지구 102,792 1,954 1990.12.18 1992.12.30 1998.12
7개지구 229,656 3,396

한편 재건축사업은 보통 준공 후 20여년이 지나 도시 미관이나 토지이용,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때에 주거생활의 안정과 주거수준의 향상을 위해 시행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구로구에서는 1995년 12월 현재 총 30개 지구가 선정되어 있다.

상업부문

구로구는 서울 중심지와 인근 도시들을 연결하는 교통연계 지역이기 때문에 입지는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업유통 기능의 역할은 저조하다. 이 점은 구로구가 상업보다는 생산 위주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서 유래한다. 하지만 구로구가 서울 어느 지역보다 공장 위주의 생산활동에 치중되어 있지만 상업활동은 인간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기능의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더욱이 한국경제의 발전에 따라 구민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소비욕구도 강해짐에 따라 구로구의 독자적인 상업권의 형성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우리 구는 다른 지역과 관련을 갖는 유통은 적고 구내에서 발생하는 수요 정도를 만족시키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주민의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유통시설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구로구의 상업지역은 구로, 오류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로구의 상업 기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경인국도변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면서부터였다. 그 이전에는 거주 인구도적었고 지역 발전도 되지 않아 근대적인 상업유통이 성장하지 못했던것이다. 그러던 것이 구로지역에 도로간선망이 건설되고 공장이 들어서면서 상업활동도 활기를 띠어갔다. 1962년에는 구로시장이 건설되었고, 1968년에는 오류시장이, 1976년에는 개봉중앙시장 등 현재까지도 구민들이 이용하는 시장들이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상품유통이 소자본의 구멍가게 수준에서 벗어나 중·대자본에 의한 전문화나 현대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우리 구로구에서도 기존의 재래시장의 역할은 점점 줄어드는 대신 종합상가나 백화점, 쇼핑센타 등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표 7-5] 구로구 시장 현황

강조자료 : 구로구 : 『제5회 구로통계연보』

구로구 시장 현황 안내 - 시 장 명, 소 재 지, 점 포 수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 장 명 소 재 지 점 포 수
구로제일시장 구로3동 169-2 35
구로시장 구로4동 736-1 140
고척시장 고척1동 50-48 220
개봉쇼핑센터 고척2동 269-1 71
원풍종합상가 개봉2동 407-11 62
개봉중앙시장 개봉2동 324-1 42
개봉제일시장 개봉3동 361-1 43
오류시장 오류1동 38-7 122
애경타운 구로구 573 453
사모아종합상가 구로동 685-140 212
삼익쇼핑센터 오류동 47-1 266
우성쇼핑센터 구로동 73-15 193
고척산업용품상가 고척동 103-4 1,131
영등포기계공구상가 구로동 604-1 932
나드리상가 구로동 685 114

구로구의 상업활동 가운데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생산활동을 뒷받침하는 기계공구류 전문상가이다. 1981년 3월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이자 최대규모의 기계공구 유통단지가 구로동 604-1번지에 건설되었다. 1980년 3월 5일 기공식에 이어 다음 해에 건설된 이 상가는 대지면적 67,595㎥, 지하 1층, 지상 3층의 건물 연면적 81,033㎥, 매장면적 27,535㎥에 달하는 당시로서는 최대의 기계공구 유통단지였다.

도로와 지하철

구로구는 서울시 남서부에 외곽에 위치하여 동쪽으로는 영등포구 금천구와 연접하고, 서쪽은 경기도 부천시와 광명시와 인접하고 있고 남쪽은 광명시와 접하고 있다. 또 우리 구는 안양천과 도림천을 경계로 영등포구, 양천구와 연접해 있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으로 우리 구는 서울 도심과 강북, 강남지역으로 통하는 관문역할을 하고 있으며 1일 총 교통량은 서울시 전체 시계 유출입 교통량의 26.8%를 점하고 있다.


영등포에서 연장되는 경부선이 분리되는 지점에서부터 서쪽으로는 경계선을 따라, 또 남쪽으로는 안양천과 경부선에 의한 철도교통 및 전철 교통 외에 수원과 인천 방면의 국도가 우리 구를 통과하고 있으며 1978년에 개통된 남부순환도로와 서부간선도로가 여러 지역과 원활한 연결도로의 역할을 하고 있어 서울의 관문 역할은 물론 한강남쪽에서는 보기 드문 교통의 요충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에 따라 구로구의 도로는 계속 증가되어 왔다.


구로구의 주요한 간선도로는 경인로와 남부순환로이다. 경인로는 우리나라의 주요한 도로의 하나인데, 1958년 포장이 이루어졌다. 산업도로로서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는 경인로는 영등포 로터리에서 오류동 시계에 이르는 길을 말한다. 경인로는 우리 구의 신도림동, 구로1동, 고척1동, 개봉1동, 오류동에 걸쳐 있다. 남부순환로는 서울남부지구를 동서로 횡단하는 간선도로인데, 우리 구의 독산동, 가리봉동, 개봉동을 지나고 있다.


구로구에 총 225,277m의 도로가 개설되어 있음에도 우리 구의 도로은 1995년 12월 31일 현재 도로율 16.01%, 포장율 87.96%으로서 이는 서울시 평균 도로율 19.85%, 포장율 92.23%보다 각각 3.84%와 4.27%가 모자라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더욱 많은 도로 건설이 필요하다. 1996년도에는 도로교통 부문에 총 175억 7천 600만원이 지출되었는데, 이는 구 총예산의 17.80%로서 보건환경부문 지출(177억, 17.96%)에 이어 두번째의 비중을 갖고 있는 주요한 사업분야이다.


[표 7-6] 구로구의 최근 20여년간 도로현황의 변화(단위 : m)

강조자료 : 『제1회 통계연보』(구로구, 1986)/『제10회구로통계연보』

구로구의 최근 20여년간 도로현황의 변화 안내 - 년도, 총길이, 도로율, 포장율, 광로, 대로, 중로, 소로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년도 총길이 도로율 포장율 광로 대로 중로 소로
1983 373,560 12.54 76.75 12,897 17,020 31,857 311,786
1986 391,851 13.42 80.64 12,897 20,141 36,464 322,350
1990 411,259 12,897 24,565 41,627 332,170
1994 427,230 13,847 26,962 45,233 341,188
1995 225,277 16.01 8.96 11,447 21,722 22,550 169,518

[표 7-7] 1995년 12월 31일 현재 구로구도로현황( 단위 : m, ㎡)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구로구, 1996)

1995년 12월 31일 현재 구로구도로현황 안내 - 구분, 폭원, 연장, 면적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폭원 연장 면적
광로 40-50m 11,447 574,860
대로 25-35m 21,722 662,144
중로 12-20m 22,550 361,313
소로 10m 미만 169,518 904,613
광장 4개소 236,569
총계 225,277 2,739,499

[표 7-8] 도로건설 추진상황 (단위 : 건수,백만원)

강조1992-95년까지는 각 연도에 완료된 사업임. 1996년도는사업계획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구로구, 1993,94,95,96년도)

도로건설 추진상황 안내 - 년도, 도로 개설, 도로 정비, 가전 및 기타, 총사업비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년도 도로 개설 도로 정비 가전 및 기타 총사업비
1992 23 9 7 25,692
1993 26 9 4 13,021
1994 37 28 12 27,366
1995 12 25 2 17,128
1996 21 31 9 153,71

구로구 내 도시계획 시설은 결정된지 10년 이상이 대부분으로 인근 주변에 소방차 및 생필품 운반차량의 접근로가 없는 주거 밀집지역이 많고 상대적으로 개발이 낙후된 지역이다. 그러나 그동안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서울시의 재정여건 등으로 도시계획이 지연되었다.


구로구의 교통망 체계는 경인국도를 중심으로 한 경인축과 시흥대로를 중심으로 한 경수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부간선도로와 남부순환도로는 서울시 순환교통체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지역간선 도로로는 개봉로, 광덕로, 도림천로가 있다. 구로구의 교통로는 통과 교통량이 과다하여 처리부족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로구에 건설되어 있는 주요 간선도로 현황

구로구에 건설되어 있는 주요 간선도로 현황 안내 - 노선번호, 가로명, 기점 - 경유지 - 종점, 폭(m), 연장(m)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노선번호 가로명 기점 - 경유지 - 종점 폭(m) 연장(m)
163 등촌로 공항로 - 국군통합병원 - 경인로 30-40 5,800
166 강서로 공항로 - 화곡동 까치터널 - 경인로(고척동) 30 7,300
173 가마산길 대방로 - 구로구청 - 광명대교 30 5,300
174 개봉로 개봉동3거리 - 원풍아파트 - 개봉교 25 1,250
175 구로동길 구로공구상가 - 남부순환로 - 독산동 시흥대로 20 3,650
176 공단로 구로1교 - 구로공단 - 철산교 20 3,500
177 고척동길 갈산국교 - 오류동 - 경인로 20 3,550
178 시흥대로 대림3거리 - 구로교 - 시흥동 시계 50 6,800
180 경인로 영등포 로타리 - 문래동로타리 - 온수동시계 35 9,000
188 도림로 영등포국교 - 신길광장 - 구로4거리 25-30 4,000
225 남부순환로 강동대로 - 우면동 - 공항입구 40-50 363,000
307 도림천로 신정1교 - 도림천 - 시흥대로 40 4,200
338 안양천길 양화교 - 안양천뚝길 - 고척교 25 6,100
343 오류동길 경인로 - 동부철강 - 천왕동시계 20 1,760
345 구로큰길 경인로 - 구로구청 - 도림로 35 1,830
503 서부간선도로 경인고속 - 안양천 - 시흥대교 25-30 9,800

도로교통은 단지 도로건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로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도로시설물이 필요하다. 구로구 내 도로시설물은 총 35개소로서 주요 시설물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교량이 13개소, 차도육교 5개소, 입체교차로 2개소, 지하차도 5개소, 보행자 안전통행을 위한 보도육교가 10개소이다. 다음은 구로구에 건설된 도로시설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교량은 현재 1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입체 교차로는 오류입체교차로(폭 8.5m, 연장 650m)와 공단입체교차로(폭 8.5m, 연장540m) 두 곳이 있는데, 각각 1977년 7월과 1991년 9월에 건설되었다.


[표 7-10] 교량현황

교량현황 안내 - 시 설 물 명, 개 요, 준 공 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 설 물 명 개 요 준 공 일
철산 2 교 폭10m, 연장 60m 1977.7
개명교 폭7.2m, 연장 60m 1986.12
개웅교 폭7.2m, 연장 60m 1986.12
개봉교 폭25m, 연장 60m 1981.12
고척교 폭8.5m, 연장 305m 1988.12
안양교 폭22m, 연장 265m 1977.7
광복교 폭18.5m, 연장 66m 1977.7
구로1교 폭25m, 연장 66m 1978.2
구로2교 폭25m, 연장 63m 1979.12
신정2교 폭36m, 연장 270m 1988.2
도림교 폭30m, 연장 60m 1971.6
구로교 폭50m, 연장 75m 1971.6
신도림교 폭30m, 연장 88m 1986.3

[표 7-11] 지하차도 현황

지하차도 현황 안내 - 시 설 물 명, 개 요, 준 공 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 설 물 명 개 요 준 공 일
고척지하차도 폭 17.5m, 높이 4.6m 1993.12
구로지하차도 폭 38m, 높이 4.4m 1993.12
구로큰길 지하차도(1) 폭 15.8m, 높이 4.7m 1993.12
구로큰길 지하차도(2) 폭 15.8m, 높이 4.7m 1993.12
고척1 폭 21.2m, 높이 307m 1989.12

[표 7-12] 차도 육교현황

차도 육교현황 안내 - 시 설 물 명, 개요, 준 공 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 설 물 명 개요 준 공 일
개봉 폭 18.5m, 연장 307m 1971.7
개봉(철도) 폭 22m, 연장 148m 1977.7
가리봉전철 폭 18.5m, 연장 58m 1977.7
오류(철도) 폭 36.7m, 연장 46.5m 1986.5
구로육교 폭 18.5m, 연장 531.4m 1997.7

[표 7-13] 입체교차로 현황

입체교차로 현황 안내 - 명칭, 폭, 연장, 준공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명칭 연장 준공일
시흥입체교차로 25.70 84 1977.30
오류입체교차로 20 30 1977.30

[표 7-14] 보도육교현황

보도육교현황 안내 - 시 설 물 명, 개요, 준 공 일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 설 물 명 개요 준 공 일
신도림동 사무소앞 폭 4m, 높이 4.52m 1978.4
오정국교 앞 폭 4m, 높이 4.74m 1993.10
구로전철역 앞 폭 4m, 높이 4.6m 1993.10
개봉국교 앞 폭 4m, 높이 4.48m 1981.11
원풍아파트 앞 폭 4m, 높이 4363m 1983.9
오류 I.C 앞 폭 4m, 높이 4343m 1984.2
경인철도 앞 폭 4m, 높이 5.2m 1988.7
칠성아파트 앞 폭 4m, 높이 4.55m 1988.11
남부아파트 앞 폭 4m, 높이 2.16m 1977.9
가리봉2동 사무소앞 폭 4m, 높이 4.8m 1977.9

이 밖에도 교통여건을 개선, 지하차도 정비 등 도로시설물을 보수하고 이면도로를 정비하는 등의 대선사업이 계속 실시되고 있다. 또한 구로구에서 운행,차량을 공존시키는 인간중심의 종합적인 생활차시설 운영, 개선, 이면도로 정비, 안전시설 확충, 교통수요 관리, 보행 및 자전거 이용 환경개선, 가로정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로뿐만 아니라 교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교통체계도 절실하다. 우리 구의 1일 교통 인구는 1,300천 명에 이른다. 교통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소통난과 주차난의 비중은 더욱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로구는 대중교통서비스를 개선하고 교통통제 시스템을 정비하는 한편 운행질서 확립을 위해 힘쓰고 있다. 먼저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도시형 냉방버스를 늘리고 합리적으로 버스노선을 정비하며 버스전용차선제 운영을 강화하고 있다. 또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일방통행제(개화천 도로 1.2km)를 실시하고 주요시설물을 명기한 교차로, 도로표지판을 정비하고 보행자를 위한 안내표지판을 증설하고있다.


현재 구로구 주차 수요는 54,633대로써 현재는 38,95대를 확보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리 구는 2000년도까지 주차 확보율을 93%(약 6만5천대)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공영주차장을 확대하고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주차장 민자 유치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대림역, 신도림역, 구로공단역(도림천 복개) 주변의 주차장 확보는 점증하는 주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철은 수도권 광역 체계망으로서 이미 경인, 경수전철(국철)이 설치되어 있다. 1974년 8월 15일에 개통된 수도권전철은 구로구를 통과하고 있다. 전철역으로서는 경인선과 경수선이 분기하는 구로역이 구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견인선의 구일역, 개봉역, 오류역, 온수역 등이 있다. 경인선 개통 후 구로지역이 발전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역사 건설의 필요성이 점증되자 오류역을 1986년 1월 19일 건설하였고, 온수역은 1988년 1월 10일 준공하였다. 지하철 1호선 구로역(구로5동)은 1973년 12월 5일 건설되었고, 가리봉(가리봉2동)역은 1974년 8월 15일에, 개봉역(개봉2동)은 1974년 8월 15일에, 오류역(오류1동)은 1989년 9월 18일에, 온수역(수궁동)은 1988년 1월16일에 각각 건설되었다.


한편 지하철 2호선도 구로구를 통과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중의 유일한 순환노선으로 건설된 2호선은 서로 기능이 다른 서울의 부도심을 연결시키려는 도시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전 구간이 모두 개통된 것은 1984년 5월 22일이었다. 우리 구의 지하철 2호선은 역은 신도림역, 대림역(구로구청역), 구로공단역 등이 위치하여 대중교통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 한편 지하철 5호선 중 구로구 내에 도림천역이 계획되어 있고, 지하철 7호선이 현재 계획되어 건설중에 있다. 지하철 7호선 건설은 10.82km 중 4km를 1998년에 완공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7-23, 24공구((대림역-남부순환로) 총 1,062m공사지역에 지하철역 1개소를 건설하며, 7-25공구(광명교-천왕동 4거리)620m를 건설하고, 7-26공구(천왕동 4거리-온수동) 2,320m 지역에 지하철역 2개소 건설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하천

현재 구로구에는 안양천, 도림천, 오류천, 개화천 등 4개의 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총 연장은 13.97km이다.


하천을 계획적으로 관리하려면 이에 대한 개수공사가 필수적이다. 1960년 당시 서울 하천상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발견되지 않지만 1962년 판 「시정개요」에 기록된 하천 개수상황을 보면 한강이 86.9%, 중량천 80.3%, 욱천 100%, 안양천 100%로 직할 하천의 경우 88.5%가 개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지방하천인 도림천의 경우에도 개수율이 88.8%로 나타나고 있다. 각 하천개수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이후 각 하천에서 호안(護岸)공사에 비중이 두어져 실시되었다는점을 감안하면 신뢰도에 의문이 있다 하겠다. 즉 제방은 축조되어 있으나 호안공사가 부실하여 계속 공사를 시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다.


[표 7-15] 구로구 하천 현황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구로구 하천 현황 안내 - 하천면, 유료연장(m), 하천폭(m), 개수계획(m), 개수(m), 개수율(%), 비고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천면 유료연장(m) 하천폭(m) 개수계획(m) 개수(m) 개수율(%) 비고
안양천 3,570 220 3,570 3,570 100
도림천 4,200 65 4,200 4,200 100
오류천 3,000 10-17 3,000 3,000 100
개화천 3,200 80 3,200 3,200 100
13,970 10-220 13,970 13,970 100

서울시 행정구역이 확장되면서 포함된 오류천은 1965년 말 현재 개수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였다. 도림천은 영등포구의 도림동, 대림동, 문래동과 관악구의 신림동 등을 유역으로 하는 하천으로 1960년대 이유역의 시가지화가 추진됨에 따라 개수 수요도 커졌다. 1960년대에는 하천공사는 5건이 시행되었는데, 1964년 상류구간에서의 실시된 호안공사 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축제공상(築堤工事)였다. 축제공사는 11961년부터 63년까지 실시됐다. 총 5건에 소요된 비용은 총 1억 5천만원이었다.


오류천은 구로구 오류동 80번지를 기점으로 하고 개봉동은 개화천 합류점을 종점으로 하는 하천으로서 그 연장은 4.62km이고 그 유역은 온수동, 오류동 등 5.52㎢에 이르고 있다. 이 하천은 1963년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서울시로 편입되었는데, 1960년대 개수공사는 1966년 축제 및 호안 공사 600m를 5백만원을 들여 1건을 시행하였다. 1970년대는 하천개수에 있어 중요한 연대였다. 한강본류의 경우 여의도 개발을 비롯하여 고수부지가 있는 지구에서는 공유수립매립에 의한 토지조성공사가 한창 전개되고 제방이 축조되었다. 70년대 초에는 하천관리 체제 상에도 변화가 있었으니 하천개수 10개년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1972년을 기점으로 하여 1981년까지 하천개수율 100%를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1971년 하천법이 개정되어 하천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수입을 지방자치단체장이 하천개수목적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1970년대 초 서울시 직할하천 개수율이 75.3%이고 지방하천은 70.2%,준용하천은 46%로서 결국 개수율은 54.5%였다. 1970년 말 현재 하천의개수율은 다음과 같다.


[표 7-16] 구로구 1970년 하천별 개수상황

강조자료 : 서울특별시, 『시정개요』(서울특별시,1971)

구로구 1970년 하천별 개수상황 안내 - 등급, 수계, 하천명, 유로연장, 계획연장, 기개수, 미개수, 개수율(%)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등급 수계 하천명 유로연장 계획연장 기개수 미개수 개수율(%)
직할 한강 안양천 12,290 17,396 16,946 450
지방 한강 1,810 1,810 1,810 -
소계 14,100 19,206 18,756 450 97
준용 안양 개화천 3,200 5,217 - 5,217
준용 안양 오류천 2,970 5,940 - 5,940
준용 안양 도림천 12,000 18,557 1,485 6,072 67.3

이를 보면 구로구를 흐르는 하천에 대한 개수가 서울시 평균보다 높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안양천은 1970년 개수율 97%로 개수가 완료 단계에 있었다. 1977년 하도정비공사 1건이 시행되었는데, 공사비는 5,000만원이었다. 하천에 대한 관리는 개수뿐만 아니라 부대시설을 필요로 한다.


[표 7-17] 빗물펌프장과 간이펌프장 현황(단위: 배수용량 ㎡/min, 면적 Ha)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빗물펌프장과 간이펌프장 현황 안내 - 펌프장명, 배수용량, 몽리면적, 몽리동수, 모타시설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펌프장명 배수용량 몽리면적 몽리동수 모타시설
구로1빗물펌프장 536 63 7,960 250HPx3대 300HPx2대
구로2빗물펌프장 690 38.2 5,460 250HPx3대 120HPx3대
구로3빗물펌프장 525 5.5 300 400HPx3대
신도림빗물펌프장 920 27 4,200 400HPx4대 500HPx2대
신구로빗물펌프장 1,075 39 16,840 400HPx7대
개봉빗물펌프장 9,440 379 56,200 1000HPx8대 1540HPx8대
개봉2빗물펌프장 4,800 120 7,200 1000HPx8대 1340HPx8대
구로2간이펌프장 45 - 30HPx3대
구로5간이펌프장 30 2.98 50HPx3대
구로3간이펌프장 30 3.37 30HPx2대

우리 구를 지나는 안양천, 도림천, 개화천에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안양천에는 고척 수문(고척동66 소재), 개봉 7련 수문(개봉동185), 구로1호 수문(신도림460), 구로 2호 수문(구로동74), 구로3호 수문(구로동118), 구로4호 수문(구로동125), 구로7호 수문(구로동181), 구로8호 수문(구로동181), 철산유수지수문(구로동689), 도림유수지 수문(신도림동320), 고척2호 수문(고척동60)이 있고, 도림천에는 구로1유수지 수문(구로동1-16), 구로2유수지 수문(구로동124), 구로3유수지수문(구로동125-85), 구로9호수문(구로동124-42)이 설치되어 있다. 개화천에는 개화천 1호수문(천왕동66-2), 개화천2호 수문(천왕동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로구내에는 빗물펌프장 7개소와 간이펌프장 3개소가 있어 홍수조절의 역할을 하고 있다.


[표 7-18] 가압장 현황

강조자료 : 구로구, 『제5회 구로통계연보』(구로구,1990)

가압장 현황 안내 - 가압장명, 소재지, 규모, 급수인구, 급수전수, 급수구역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압장명 소재지 규모 급수인구 급수전수 급수구역
개봉가압장 개봉2동 327-24 100HPx2대 4600 926 개봉2,3동
온수가압장 온수동 230-10 25HPx2대 4775 967 수궁동
오류2 오류2동 145-4 20HPx2대 500 98 오류2동
오류1 오류1동 387-19 60HPx2대 1368 173 오류1동
성아단지 개봉1동 460-14 40HPx2대 3792 293 개봉1동
육본단지 고척2동 249-3 50HPx2대 2300 246 고척2동
온수2 수궁동 23-10 40HPx2대 1300 206 수궁

우리 구는 4개 하천인 안양천, 도림천, 개화천, 오류천 등에는 주변 인접도시의 폐수가 유입되고 있다. 이는 공해 배출업소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 공해업소 중 대기오염은 62개소, 소음은 70개소인데 반하여 수질오염 업소는 144개소에 달하고 있어 수질 오염에 대한 방지책이 절실한 형편이다. 이에 구는 산업폐수를 감량하고 재활용하도록 적극 지도하고 있다. 즉 공정별로 폐수의 특성을 정밀분석하여 공업용수, 청소용수, 조경용수로 재활용하는 것이 그것이다. 또한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지도와 단속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각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도를 분석하여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한편 강우 시 야간 연휴 등의 취약시간대의 단속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배출업소의 환경의식을 제고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홍보도 강화하고 있다.


구로구에는 경기도의 안양, 광명시 등 인접 도시에서 흘러 들어오는 안양천, 도림천, 오류천, 개화천 등 한강 지류 하천이 있기 때문에 치수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지역이다. 특히 서울지방 집중호우나 홍수시에 한강 수위 상승에 따른 하천 역류현상으로 개봉동 등 하천변 저지대 지역 침수 피해가 반복되어 왔으며 지난 90년 9월의 집중호우로 개봉역 일대 등 3,600동의 가옥 침수와 5,769가구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구로구 내 저지대 피해지역은 개봉1동, 2동, 3동으로 집중호우 시 오류천, 개화천 주변지역이 침수되는 일이 잦다.


1972년 8월 18일과 19일 양일간에 걸쳐 내린 비로 서울시 전역에 3-7일간 가옥이 침수되고 교통이 두절되는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런데 이 수해는 한강제방의 미비로 인해 발생한 것이었다. 1960년대 후반기부터인구집중으로 새로 개발된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구로 2,3동에서는 가옥이 각각 375동, 900동이 침수되었다. 이 피해는 안양천 수위가 급상승하여 배수문의 폐쇄와 도림천제방의 결궤로 인한 것이었으므로 1972년까지 도림천의 복구를 완성하고 1973-74년 사이에 대형 유수지 배수펌프장을 설치하였다.


저지대 주거밀집 지대의 잦은 홍수는 주민의 재산상 피해는 물론 지역발전의 저해요인이 되기 때문에 구로구의 오랜 숙원 사업 중의 하나가 수해 없는 구로구 건설에 있을 정도였다. 이에 따라 1991년 이후부터 오류천과 개화천에 대한 수해방지 시설 설치에 착수하여 오류천 중류와 하류 1,100m구간은 하폭 확장과 암거신설을 위해 총 6,999백만원을 투입하여 92년 6월말에 준공하였다. 개화천에는 총 2,420m구간에 5-7m높이의 차수벽을 설치하고 개봉1빗물펌프장을 보강하는 한편 모터 펌프 1000HPx 8대, 700HPx 4대를 설치한 개봉2빗물펌프장 신설공사를 284억원을 투입하여 95년 2월말 준공하였다. 이밖에도 안양천 제방보강에 94년 15억원, 95년에는48억원을 투자하여 제방을 정비하였고, 빗물펌프장 기능보강을 위해 8개소에 520만원의 예산을 투자, 시설물을 정비함은 물론 뒷골목 빗물받이 준설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수해 없는 구로구 건설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구로구에서는 1996년 치수·하수부문에 구 총예산의 4.79%인 총 47억 3천만원이 지출하고 있다.


풍수해로부터 국토를 보존하고 구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재해에 관한 사전예방대책과 함께 재해 발생 시 피해를 최소한으로 경감시키고자 수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해예상지역에 대한 수방공사를 추진하거나 수방 요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고 주요 수방자재 및 장비 조기 확보 관리하는 것은 수해 예방대책의 한부분이라 할 수 있다. 구로구에서는 재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본부장을 구청장으로 하는 재해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있다.


재해대책본부 운영은 기상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운영되는 데 제1단계인 예비체제시는 기능과 필수요원 2인 이상 운영되고 제2단계인 준비체제는 반별요원 26명으로 운영되고 제3단계인 경비체제는 반별요원 54명으로 운영되며, 제4단계인 비상체제는 반별요원 110명으로 운영된다. 수방단 편성운영은 총 19개대 794이다.


구청의 하수과, 토목과, 건축과 등 해당부서는 저지대의 침수취약지대를 점검하거나 도로, 교량, 축대들과 노후건물 등 취약지대에 대해 점검하고 정비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상하수도

상수도

물은 생명의 원천이다. 사람을 포함하여 모든 생물은 물 없이는 살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옛날의 농촌생활과는 달리 현대의 도시생활은 식수뿐만 아니라 질 좋은 생활, 공업용수를 어떻게 충분히 공급하느냐가 무척 중요하게 되었다. 좋은수질의 물 공급은 생활을 쾌적하게 하고 원활한 경제활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1960년 당시 서울시의 급수보급율 50.5%로서 아직도 121만명(49.5%)의 시민이 급수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1963년에 이르면 행정구역 개편으로 서울시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급수율은 더욱 떨어지게 되었다. 1965년에 수립된 『시정10개년계획』은 1963년 말 현재 미급수 인구를 41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여기에 나온 우리 구에 관계된 자료를 보면 아래와 같다.


[표 7-20] 미급수지역의 인구 및 장래인구추세

강조자료 : 서울특별시, 『시정10개년계획』(서울특별시,1965)

미급수지역의 인구 및 장래인구추세 안내 - 지역별, 행정구역, 구분/미급수지역, 1963년 미급수 인구, 1974년 계획인구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행정구역 구분/미급수지역 1963년 미급수 인구 1974년 계획인구
3지역 영등포구 구로1동 11,915 19,320
구로2동 26,960 43,720
대림동 45,696 20,100
50,269 83,140

이와 같은 전망하에 『시정10개년 계획』은 1970년의 급수보급율을 70%로 잡고 있다. 1인당 1일 평균 급수량은 220L이며 1일 평균 총 급수량은 65만 3,000㎥/일로 설정하고 있다. 이후 보광동, 뚝도, 구의 수원지가 신설되면서 어느 정도 급수량을 확보하게 되었다. 1967년에는 500㎥/일 규모의 시흥 보조수원지가 또 하나 신설되고 1964년에는 신촌, 미아리 보조수원지 시설을 개선함에 따라 시설용량은 80만 2,5000㎥/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써 1979년 말 현재 총 시설용량은 108만㎥/일로 증대되었다. 한편 서울시의 배수급수관 시설의 전체상에 관해서는 당시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자세히 알수는 없으나 1960년에는 배수관이 31km, 급수관이 515km설치되어 있었고, 1970년에는 1,216km, 5,239km로 늘어났으며 1979년에는 3,071km, 10347km로 크게 성장하였다.


한편 우리 구의 공업적 성격을 고려해본다면 공업용 수도사업을 빠뜨릴 수 없다. 공업용 수도사업은 수요 증대 전망에 따라 1980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1일 13만㎥의 증산계획을 세워 1980년의 급수량을 영등포지역 20만㎥/일, 구로, 시흥, 강서지역 5만㎥/일, 총 25㎥/일을 공급할 계획을 세운바 있었고, 소요 사업비 9억원 상당의 사업계획을 수립한 바 있었다. 그러나 1972년 말 공업용 수도사업은 상수도사업과 통합운영하기로 결정되었다. 다음은 당시의 공업용수도 확장계획이다.


[표 7-21] 공업용수도 확장계획(㎥/일)

강조자료 : 서울특별시, 『시정개요』(서울특별시,1972)

공업용수도 확장계획 안내 - 지구별/년도별, 1970년, 1980년, 지구별/년도별, 1970년, 1980년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구별/년도별 1970년 1980년 지구별/년도별 1970년 1980년
영등포 100,000 200,000 구로·시흥·김포 20.000 50,000

상수도관 매설은 계속 증가되어 왔다. 1983년 255,796m(송배수), 613,995(급수)이던 것이 1986년에는 357,574m(송배수), 605,765m(급수)로 늘어났고 1990년에는 449,864m(송배급 모두)로 1994년에는 총 1,063,497m로 증가하였다. 이 중 송수관은 13,018m이고 배수관 517,098m, 급수관은 533,981m에 달한다. 총 배수 면적은19.86㎢로서 1986년 21.97㎢에 비해 크게 늘지 않은 형편이다.


현재 우리 구의 상수도는 57,989전(栓)으로서 보급율은 100%에 이르고 있어 상당히 양호한 편에 속한다. 1인당 급수량(453L/人日)의 각각 106%와 107%를 차지하고 있어 약간 많은 편을 나타내고 있다.


[표 7-22] 구로구의 급수인구와 보급율

강조자료:구로구, 『제5회 구로통계연보』(1990)/구로구, 『제10회구로통계연보』(1995)

구로구의 급수인구와 보급율 안내 - 년도, 관내급수 총인구, 급수 인구, 보급율, 급수전수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년도 관내급수 총인구 급수 인구 보급율 급수전수
1983 629,663 602,587 95.7
1986 706,848 679,988 96.2
1990 748,072 748,072 100.0
1994 698,274 698,274 100.0 90,472
1996 383,224 383,224 100.0

구로구의 급수는 영등포구 수도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를 정수장별로 보면 구로구는 영등포정수장, 선유정수장, 암사정수장이 구로구 관내 19개 동의 급수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이들 정수장이 맡고 있는 동을 각각 살펴보면 영등포정수장은 고척1·2동, 개봉1·2·3동, 개봉본동, 오류1·2동, 수궁동에 거주하는 총 63,609가구, 204,270명의 급수를 담당하고 있다. 또 선유정수장은 구로1·2·3·4·6동, 가리봉1·2동의 총 41,527가구, 120,784명의 급수를 담당하고 있으며, 암사정수장은 신도림동, 구로2·5·6동, 구로본동에 거주하는 34,021가구, 총인구 100,785명의 급수를 맡고 있다.


구로구에서 사용하는 수도량을 사용 종류와 그 사용료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7-23] 급수사용료 (1994년) (단위: 천원)

1994년 급수사용료 안내 - 구분, 합계, 가정용, 영업용 1종, 영업용 2종, 목욕탕 1종, 목욕탕 2종, 공공용, 일시 급수, 사설 소화전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합계 가정용 영업용 1종 영업용 2종 목욕탕 1종 목욕탕 2종 공공용 일시 급수 사설 소화전
1983 39,851,775 29,107,581 5,787,702 2,587,720 9,000 2,279,759 303,986 38,747 900
1986 54,370,806 42,976,329 6,140,407 2,192,782 26,361 1,631,700 1,109,612 12,355 -
1990 62,628,652 47,738,170 9,172,514 2,368,722 - 2,745,868 1,594,378
1994 127,344,884 85,298,273 4,621,664 27,045,095 4,966,032 170,120 5,423,700
급수 사용료 16,224,650 6,725,292 596,470 7,482,192 525,579 9,891 649,561

하수도

어떤 시점의 하수도 보급실태가 어떠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하수도가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수도란 시가지 안의 하수를 배제 또는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도관과 이를 관련된 시설 일체를 말한다. 흔히 하수도하면 하수관거리만 아니라 하수처리장과 빗물펌프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비올 때 빗물처리를 위해 마련된 개거(開渠)는 분뇨 정화조를 사용하게 되면서 관거시설이 촉진되게 되었다. 그리고 집중호우 시 하천수위가 높아져 자연적으로는 빗물을 하천으로 배수할 수 없어 강제 배수를 통해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생긴 것이 빗물 펌프장이며 자정 한계를 넘어선 오수를 조정하기 이해 생긴 것이 하수처리장인 것이다.


서울시의 1961년 당시 하수관거의 연장은 68만 9,396km였고, 이는 인구 257만 7,000인을 기준으로 할 때 1인당 연장은 0.27m였다. 이는 당시 수요에 대한 개념이 무척이나 부족하였음을 나타내주는 사례라 할 것이다.


1966년 당시 구로구 지역의 배수구역별 하수도 시설현황을 보면다음과 같다.


[표 7-24] 배수구역별 하수도시설 현황 자료 : 서울특별시, 『서울하수도 백서』(서울특별시,1966)

배수구역별 하수도시설 현황 안내 - 배수구역, 개거, 함거, 토관, U형 측구, L형 측구, 횡단 하수구, 원형 맨홀, 각형 맨홀, 빗물 받이, 오수 받이, 연결 받이, 침 사 지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배수구역 개거 함거 토관 U형 측구 L형 측구 횡단 하수구 원형 맨홀 각형 맨홀 빗물 받이 오수 받이 연결 받이 침 사 지
도림 3,743 782 14,044 7,950 20,193 80 84 465 16 28 0
안양 7,163 1,741 29,633 3,100 42,037 618 314 50 2,201 61 350 0

구로구의 하수도 상황은 1994년 현재 전체 구면적 32.92㎢ 가운데 계획 오수면적이 23.4㎢인데, 이 중 오배수 구역 면적이 23.4㎢로써 100%오수 배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인구로 보면 총 인구 698,274명의 오수배수를 모두 처리하여 100%의 처리율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수세식 인구는 94.7%에 달한다. 하수도 총 연장은 489km로서 서울시 전체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하수도 계획의 주하천은 안양천과 도림천이며 배수면적은 구로구 면적의 65%인 21.35㎢으로 서울시 전체의 6.7%를 차지한다.


구로구는 수출산업공단 등 공장이 많은 공장지역이며, 깨끗한 물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수질오염 예방을 이해 폐수배출 업소 관리를 강화하여 폐수 배출량 10% 줄이기 운동을 전개해나가고 있고, 수질 TMS망 구축으로 업체의 수질 자동측정기와 전산망으로 연결, 상시 감시체제를 확립하여 폐수 배출로 인한 수질오염을 막고 있다.


하수도 보급율을 보면 면적기준으로는 99.3%, 관거기준은 100%로서 서울시 평균보급율을 상회하고 있다. 구로구는 공업지역 면적이 30.8%인 4.5㎢을 차지하고 있어 공장 폐수가 많아 생활오수보다 더 심한 오염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의 하수는 한강 본류와 합류하는 지점인 안양천 하류에 방류되고 있으므로 오염원의 최종 영향은 한강본류에 미치게 된다.


[표 7-25] 하수도 현황 (단위 :㎢)

강조자료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서울시, 1991)/ 구로구,『구로통계연보』(구로구, 1991)

구로구 하수도 현황 안내 - 구분, 행정구역면적, 계획배수면적, 배수면적, 계획하수관 연장, 시설하수관거 연장, 보급율, 면적기준, 과거기준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행정구역면적 계획배수면적 배수면적 계획하수관 연장 시설하수관거 연장 보급율
면적기준 과거기준
서울시 605.34 326.32 320.13 9,582 9,122 98.1 95.2
구로구 32.81 21.49 21.35 488 489 99.3 100
서울대비(%) 5.4 6.6 6.7 5.1 5.4 - -

[표 7-26] 하수도 및 부대시설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1996』(구로구, 1996)

구로구 하수도 및 부대시설 안내 - 종류, 암거, 관거, 개거, U형측구, 맨홀, 빗물받이, 분류관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류 암거 관거 개거 U형측구 맨홀 빗물받이 분류관
길이(m) 25,709 246,566 7,900 2,961 4,804 8,340 7,223

공원

오늘날 우리 사회는 21세기를 맞이하여 양의 시대에서 질의 시대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시민의 의식도 물질적인 풍요로움에 대한 추구에서 생활 전체의 질의 향상으로 그 관심이 변화하고 있어 인간의 생활을 둘러싼 자연, 경관, 문화 등의 환경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우리 구는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개발의 논리에 밀려 공원 녹지가 충분히 조성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원녹지는 주로 산림, 구릉지 형태로 잔존하고 있다. 21세기에는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도시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들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시민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여가공간 특히 공원용지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일상적으로 휴식, 산책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의 조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 구에 설치되어 있거나 계획되어 있는 공원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7-27] 구로구 공원면적별, 시설별현황 (단위 :㎡)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1996』(구로구, 1996)

구로구 공원면적별, 시설별현황 안내 - 년도, 공원, 유원지, 가로녹지, 체육공원, 자연공원, 근린공원, 묘지 공원, 어린이공원, 수, 면적, 수, 면적, 수, 면적, 수, 면적, 수, 면적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년도 공원 유원지 가로녹지 체육공원
자연공원 근린공원 묘지 공원 어린이공원
면적 면적 면적 면적 면적
1983 2 46,998,600 5 580,883 0 129 85,273 29
1986 2 3,781,662 5 706,005 0 56 59,121 35 241,651 1 26,952
1989 3 3,738,594 5 753,229 0 56 61,248 46 354,402 1 26,952
1994 2 3,660,000 6 771,000 0 61 66,000 1 27,000
1996 2 1,685,425 6 753,229 0 20 26,731

우리 구 공원현황은 비교적 큰 산으로 이루어진 2개의 도시자연공원과 대부분 생활권 주변의 야산인 6개 근린공원, 그리고 주택가 내의 어린이공원 16개가 있어 주민의 휴식놀이, 운동 등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인구가 밀집되고 공해가 심하며 콘크리트화된 도심에서 시민의 유일한 휴식처로써 앞으로 미시설된 부분은 년차별로 가급적 조속한 기한 내 많은 예산을 투자 개발함으로서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을 경감시켜야 할 것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공원으로 지정된 상태이지만 조성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미시설공원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미시설공원내의 많은 사유지가 포함되어 있어 공원으로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 구에서도 미시설공원내의 사유지를 확보하여 시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이 큰 정책과제로 대두하고 있다. 우리 구에서 아직 설치되지 않은 도시 자연공원은 다음과 같다.


[표 7-28] 구로구 미시설 도시자연공원(단위 :㎡)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구로구 미시설 도시자연공원 안내 - 공원명, 위치, 미시설, 개소, 면적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원명 위치 미시설
개소 면적
천왕 공원 천왕동 산 25-1 일대 1 587,860
온수 공원 개봉1동 산2-1 일대 1 1,097,565
2 1,685,425

천왕공원은 최고 표고 145m의 낮은 구릉지에 입지한 공원으로 자연식생이 양호하고 대부분 식생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구로공단지대와 광명시에 인접하고 있어 공원조성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 주변에 공장이 밀집해 오염도가 매우 큰 서남부 지역의 녹지로 보호할 필요성이 그만큼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천왕공원은 오염도가 매우 큰 서남부지역의 녹지를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뿐 아니라 주변에 공원녹지가 부족하여 일상적인 휴식공간이 필요한 주민들을 위해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녹지공간이라 하겠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펴낸 『미시설공원의 조성 및 토지수용방안』(1995)을 보더라도 구별 미시설공원 가운데 천왕공원은 자연공원으로서 조성될 경우에 그 효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시급히 만들어져야 하는 공원으로 선정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공원에는 자연공원뿐만 아니라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으로 나누어진다. 다음은 근린공원과 어린이 공원 현황이다.


[표7-29] 구로구 근린공원현황(단위 : ㎡)

강조자료 : 구로구, 『제5회 구로통계연보』(구로구, 1990)/ 구로구,『구정백서 1996』

구로구 근린공원현황 안내 - 공원명, 위치, 면적, 비고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원명 위치 면적 비고
구로공원 구로5동 102 7,901.3
고척공원 고척2동 산 9-14 일대 103,960 88.11.30일 준공
계남공원 고척2동 산 8번지 일대 156,928 89년 시설
개봉공원 개봉1동 산 21-5일대 22,500 미시설
항동공원 항동 산 12-14일대 68,500 미시설
오류공원 오류2동 산 13-5일대 393,440 미시설

[표 7-30] 어린이 공원 현황(단위 :㎡)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어린이 공원 현황 안내 - 공원명, 위치, 시설, 개소, 면적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원명 위치 시설
개소 면적
개웅공원 개봉2동 340-8 1 1,797.4
오금공원 고척1동 57-22 1 348
삼각공원 구로5동 47 1 26,335
희망공원 구로4동 745-74 1 911
삭새공원 궁동 237-6 일대 1 2,077
텃골공원 온수동 153 1 460
노루마당공원 온수동 131 1 440
수른공원 궁동 279-6 1 332
가린열공원 개봉본동 458-4 1 332.9
절골공원 개봉3동 312-25 1 369
소막골공원 개봉3동 271-17 1 516
능골공원 고척2동 220-3 1 357
골목공원 고척2동 224-3 1 266
도레미공원 고척2동 225-13 1 324
꿈마을공원 구로3동 777-1 1 1,609
온수공원 온수동 73-5 1 475
16 13,247.8

어린이 공원은 앞으로 솔길공원(구로2동 394-84일대), 화원공원(구로본동 478-1일대), 구로리 공원(구로6동 139-82일대), 고척동 공원(고척2동 167-53일대)등 모두 4곳에 설치할 예정으로 있다. 그러나 이들 미시설 어린이 공원의 소유를 보면, 시유지가 19㎡, 구유지가 547㎡에 불과한 실정이고, 이를 제외한 12,918㎡에 상당하는 지역이 사유지이다. 결국 공원건설에 필요한 보상과 조성에 소요되는 재원은 모두 구비로 충당해야 하고, 이는 중기 재정계획에 반영되어 있지만 사실상 재원마련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구로리공원의 경우 조속하게 공원화되어야 할 것이다. 공원용지 내에는 사유지 및 건물이 많이 남아있어 막대한 보상비가 소요되므로 공원조성에 어려움이 많다. 여기에는 공원의 토지 소유자들이 공원용지 해제 등 공원 결정이 있다. 그러나 주민들이 공원조성의 공리성과 그 취지를 이해함으로써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이해성 여건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공원은 신설뿐만 아니라 관리도 중요하다. 미시설공원에 산재되어있는 산책로, 등산로, 약수터, 배드민턴장 등 자연발생적인 시설에 대해서는 무질서한 시설의 확대를 억제하고 현 상태에서 청결하게 유지관리하며, 구에서 시설한 화장실, 의자 등 편익시설은 매년 도색, 보수하여 불편없이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공원에 대한 관리는 이제까지 청소 등 일상적인 유지와 관리는 상용인부, 취로인부 등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어린이 공원관리추진위원회, 약수회, 조기회 등 사회봉사 차원의 비예산 관리체계를 적극 추진하여 애향심을 고취시키고 사회봉사 참여 기회를 넓혀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녹지

녹지는 개발제한 구역, 임야관리, 가로수, 녹지대, 수림대 등 도로변 녹지 시설물의 보호 및 관리, 가로변 꽃 심기등을 들 수 있다.

  • 가. 개발제한구역
    • 개발제한구역이란 도시에 있어서 인구 및 산업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도시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공간을 말한다. 1972년 8월에 지정된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방지, 시가지의 연속화 방지로 도시 주변의 환경을 보전하고, 도시민의 생활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데, 우리 구 개발제한지역의 총면적은 4.780㎢로서 행정구역 면적의 23.76%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6개 동이 포함되는데, 가구수로는 1,775호이며 모두 5,968명이 거주하고 있다.
    •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는 대가운데 임야가 가장 많은 2.615㎢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이 농경지로서 1.227㎢를 차지하고 있다.
    • 개발제한구역 내에서는 건축물의 증개축이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수의 불법 건축물이 만들어졌다.(1996년 현재 개발제한구역 내무허가 건축물은 368동에 달한다) 이에 따라 개발제한구역은 서울시민의 환경보존 차원에서 도시계획법 및 개발제한구역 관리 규정에 따라 강력하고 지속적이 단속이 실시되어 왔다. 개발제한구역 내의 불법건축물이 강제적으로 철거되면 재산상의 손해와 함께 고발로 인하여 범법자가 양산되므로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구에서는 예방 단속에 중점을 두어 개발제한구역을 관리해가고 있다.
  • 나. 임야
    • 우리 구에는 353ha의 임야가 있으나 그 가운데 96.8%가 공원용지와 개발제한구역에 들어 있고 약 3.2%인 21.7ha만이 주거 임야로 있다. 소유별로는 국유림이 10.8ha, 공유림 9.3ha, 사유림 333ha로 사유림이 전체 임야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 이를 임상별로 보면, 침엽수가 118ha, 활엽수 71ha, 무임목지가 75ha이다. 임목축적은 ha당 35.6㎡으로 전국 평균 33.3㎡보다 다소 많으나, 세계적 임업국인 스위스의 278㎡, 서독의 150㎡과는 아직도 먼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우리 생활공간 주변의 임야는 공원과 더불어 주요한 녹지 공간이며 주민의 여가활용의 중요한 생활 공간이기도 하다.
  • 다. 시설녹지
    • 시설녹지란 도시구역 안에서 자연환경을 보존하거나 개선하고 공해나 재해를 방지하여 양호한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결정된 것을 말한다. 우리 구의 시설녹지는 아직 미시설인 상태로 있지만 시설계획을 보면, 완충녹지가 3개소 32,320ha이고 경관녹지가 1개소 7,392ha로써 총 4개소 39,712h에 이르고 있다. 이 중 사유지는 15,773a를 차지하고 있다.
  • 라. 가로수
    • 가로수는 도시경관을 수려하게 가꾸어 줄 뿐만 아니라 그늘을 제공하기도 하고 공해도 방지하는 여러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재한다. 우리 구에는 14개 노선 34,65km에 7,828주가 식재되어 관리되고있다.
    • 가로수는 내한성, 토양적응성, 이식성, 내공해성이 있는 수종으로 병충해에 잘 견디며 줄기가 곧고, 지하고가 높은 아름다운 수형을 지닌 수목으로 바람에 잘 넘어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이렇다보니 대부분의 가로수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은행나무와 버즘나무 일색으로 단순화되어 있어서 노선별로 특성있는 수종을 심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있다.
    • 구로구청부터 구로역간까지와 도로와 도림천변 신도림역부터서 부간선도로까지의 두 간선도로에는 우리 구 나무인 느티나무 가로수를 심어 느티나무 가로가 형성되었다. 느티나무는 깨끗하고 성장이 빠를 뿐 아니라 산소 방출량도 많아 공장이 많은 우리 지역에는 적합한 나무라 할 수 있다. 또한 경인로 등 5개 간선도로변 옹벽, 건물 담장 등 12개소에는 담쟁이 넝쿨 2,240주를 식재(植裁)하여 콘크리트 가로를 푸르름과 정성이 담긴 감각있는 도로로 조성하고 있다. 우리 구에서 식재하여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는 수종으로는 은행나무 3,894주, 버즘나무 3,419주, 수양나무 809주, 은단충 227주 등이며 총수량은 8,347주에 달한다.
    • 공원, 시설녹지 이외에 도로나 기타 공지에 수목을 식재, 조성한 소규모 녹지로 도로변 녹지, 수벽 등이 있다. 특히 구로 거리공원의 광로 가운데 설치된 독특한 형식의 녹지로서 산책이나, 간단한 체육활동,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의 도심속 녹지라 할 수 있는데, 공원이 많지 않은 우리 구의 중요한 문화공간 역할을 하고 있다.
    • 체육활동의 장소이자 휴식인 장소로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약수터는 우리 구에 모두 5곳이 있다. 구로구의 약수터 현황은 다음과같다.

[표 7-31] 약수터 현황

강조자료 : 구로구, 『구정백서 1996』(구로구, 1996)

약수터 현황 안내 - 약수터명, 위치, 하루 이용인원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약수터명 위치 하루 이용인원
개봉 1약수터 구로구 개봉산 산 2-1 150명
궁동 약수터 구로구 궁동 산 10 70명
온수 약수터 구로구 온수동 산 15 60명
향동 약수터 구로구 항동 산 31 150명
개봉 2 약수터 구로구 개봉동 산 59 100명
530명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도시계획과
  • 전화번호 02-860-2955
  • 콘텐츠수정일 2023.09.2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1,000자 이내로 입력하여 주십시오.(현재 0자 / 최대 1,000자)
만족도 조사 관련 내용 외에 문의사항이나 민원내용은 종합민원의 민원신청을 이용해주세요.